🏉

조직행동론 기말고사

1. 그룹 프로젝트 종합 평가: A+

세 가지의 이유로 A+로 평가합니다.
첫 번째는 컨셉의 신선함 때문입니다.
협상과 커뮤니케이션 등 여러 주제에서 자동차 딜러 사례들이 강의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강의 속 사례를 그대로 가져와 전달하는 게 신선함과 거리가 멀어보일 수 있지만, 강의실에서 들었던 사례를 바탕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가져와 들려주는 것이 1조의 목표였습니다. 외부인의 해석이 아닌 현장 한 가운데 있는 당사자의 날것의 의견을 전달하고 싶었습니다. 또한, 강의는 주제에 가장 적합한 사례를 찾아 사용하기 때문에 질문을 약간 비틀거나 이론이나 주제를 바꿀 경우 다른 결론이 날 수도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강의실의 벽을 허물고 먼 나라의 현장으로 바로 이동하는 효과를 줬다는 점에서 의도가 잘 전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는 팀의 화합을 유지하면서 사용가능한 자원 안에서 최선의 결과를 냈다고 생각합니다.
Software Engineer로 커리어를 쌓아온 저는 시스템 설계 시 항상 하는 말이 있습니다.
“완벽한 Architecture는 없습니다. 그런 건 환상입니다. 서비스의 성격 + 주어진 개발 기간과 예산 + 팀 구성에 적합한 Architecture만 있을 뿐입니다.”
1조의 결과물이 완벽했냐고 물으면 아닐 수 있습니다. 더 잘할 수 있고, 더 많은 공감을 받을수도, 더 많은 지식과 실재를 전달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일에는 제약사항이 있고,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다릅니다. 팀은 각자의 일상과 중요한 이벤트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들 조금씩 일부를 희생하면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냈습니다. 서로의 배려와 기여로 만든 팀의 결과물이었기 때문에 점수를 낮출 수 없습니다.
세 번째는 본 과정에서의 성장과 배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어떤 성장과 배움이 있었는지는 개선 전략에서!

2. 그룹 프로젝트 결과물의 개선 전략

과거로 돌아갔을 때, 또는 비슷한 프로젝트를 다시 진행한다면 결과물의 질과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Leader를 선정하거나 자처하는 것입니다.
리더가 할 수 있는 일로는 1) 팀에 적당한 목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2) 여러 상황과 사람을 융합하고 3) 이들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동기부여 및 조율을 하여 4) 조직과 개인의 성장을 돕고 5) 목표 달성 확률을 높이는 것입니다.
본 팀 과제를 돌아보니 도전적인 수준의 통일된 목표가 없었다는 걸 알았습니다. 프로젝트의 완료 외에 각자의 목표는 있었을 수 있지만, 서로 알지는 못했습니다. 때문에 겉으로 드러난 과제의 완수가 팀의 주요 목표가 됐습니다. Goal Setting Theory를 떠올려보면 도전적이면서도 부담스럽지 않은 적당한 수준의 목표는 동기부여에 도움이 됩니다. 그룹 프로젝트 결과물의 보다 구체적인 목표가 있었다면 욕심있고 동기가 있는 멤버들의 참여를 더 이끌어 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만일 프로젝트에 리더가 있었다면, Vroom-Jago Time-Driven Leadership Model에 따르면 본 프로젝트에 적합한 의사결정 방법은 Consult Group에 속합니다. 뚜렷한 리더 없이 진행된 우리 조의 의사결정은 Facilitate 와 Delegate Style 사이에 있었습니다. 각자의 역할을 나누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팀의 모습이기는 했지만 전체를 조망하고 중심을 잡는 사람이 있었다면 팀의 시너지를 극대화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팀의 Communication 방법과도 연관을 지을 수 있습니다. Communication Profiles Quadrants에 적용해보면 모든 팀원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Care Givers와 가까웠기 때문에 더욱 리더가 필요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팀 안에서의 주요 Stress 요소는 모호함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본 프로젝트는 일상적인 업무는 아니었기 때문에, 이 모호함 대신에 좀 더 도전적인 목표와 그에 수반하는 스트레스가 있었다면 비슷한 수준의 스트레스로 각자 더 큰 성취감을 얻었을지도 모릅니다.
리더의 드러나지 않는 Shadow work 중의 하나는 Team & Goal alignment와 synchronization입니다. 우리가 만들어낸 결과물이 발표자를 통해 전달되는 순간 조금씩 각자의 해석과 의도가 달라졌다는 걸 느꼈을 것입니다. 장표를 건내받은 발표자도 예상한 것과 다르거나 과하거나 부족한 장표 내용으로 발표를 준비하느라 애를 먹었을테고요. 각자 준비하면서 생각한 의도를 물어봐주고 전달하는 사람이 있거나, 함께 모여 최종 점검을 제안하는 리더가 있다면 더 재밌고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누가 리더에 적합했을 지 상상해봅니다. 결국 리더는 이 과정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분명하거나 더 큰 내/외적 동기가 있는 사람이겠습니다. 이번에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다른 팀 프로젝트에서도 리더의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다면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이번 프로젝트는 이렇게 지나갔지만 분석이 옳은지 확인해보기 위해서라도 앞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서는 프로젝트 리더를 자청해봐야겠습니다.
한 학기동안 교수님, 팀원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