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뭐 해 먹고 살지?

우리 팀이 하던 사업은 4050 여성을 위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일이었다. 커뮤니티를 만든다니. 참 어려운 표현이다. 커뮤니티라는 게 실체도 없고 허울만 좋은 표현이라 외부에 설명할 때는 이렇게 덧붙이곤 했다. “외부에서 보기에는 4050 여성들만 올 수 있는 요가원과 혈당 기반으로 건강 관리하는 챌린지를 운영합니다.” 당연하게 모든 고객이 4, 50대 여성이었다. 우리는 그들을 연희 씨라고 부르고 나는 마음속으로 언니라고 불렀는데, 언니들은 매일 영업장에 와서 뭐 해먹고 살아야 하나 고민이라고 했다. 언니들 경험치 정도면 이제는 어떻게 살 것인가 방향이 세워지는 줄 알았는데 다소 실망하기도 했다. 그러거나 말거나 뭐 해먹고 살지 고민하는 내 친구들에게 언니들의 고민을 다시 전하며 이건 평생 하는 고민인가 봐. 라고, 말했던 기억이 난다. 내가 뭐라고. 20년을 더 산 사람도 모르겠다는데.
무엇을 해 먹고 살 것인가는 학부 3년 이후부터 연애와 더불어 양두마차를 이루는 내 인생의 화두이다.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으로 비롯하는 이 고민을 보통은 청소년기에 시작한다는데, 그 시기를 허랑방탕하게 보낸 대가로 불혹과 악수하기 직전까지도 시시때때로 혹하며 다음 질문으로 넘어가질 못하고 있다.
솔직해지자. 다음 질문으로 넘어갔다고 생각했다. 같은 질문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밀도 높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생각이 짙어졌다. 그리고 그 시간을 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푸는 데 써야겠다는 결론을 10년 만에 얻어내고 드디어 문제를 풀었다고 덩실덩실 춤을 추며 시작한 게 창업이었다. 흔해 빠진 문장이었다. 하지만 스트레스받지 않고, 잘 먹고, 잘 쉬면 건강해진다는 말이 얼마나 답답한 문장인지 모두 알지 않나. 어쩌면 나는 당연한 문구대로 살아볼 것인가 말 것인가를 10년 동안 결심해 왔다고 볼 수도 있었다.
당연하거나 말거나 다음 문제를 두 손에 받아 든 느낌은 참으로 벅찼다. 어느 정도였냐면 15년 동안 책상에 앉아서 개발만 하다가 세상으로 나와 바닥이 지글지글 끓어오르는 무더위와 살갗을 저미고 지나가는 칼바람 속에서 전단지를 돌리고 다닐 때도 웃음이 절로 났다.
“요가하러 오세요!”
실제로 오신 고객들은 전단지 나눠주는 이의 표정이 근심 없이 밝아서 호기심이 생겼다고 했다. 의욕과 의지가 있었고, 같은 곳을 바라보는 동료가 있었다. 충만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었다. 그래 놓고 영업 종료와 동시에 다시 이전 문제를 펼쳐보는 꼴이라니. 이건 퇴보라고 해야 하나, 원상 복귀라고 해야 하나. 수능 볼 적에 이미 푼 문제는 돌아보지 말고 우선 끝까지 쭉 풀어보라는 시간 관리법을 배웠던 것 같은데, 내가 낸 답이 보기에 없다는 걸 깨닫자마자 앞 문제에 적은 답도 혹시나 틀렸을까 봐 뒤적거리고 있다.
헤어진 연인도 들춰볼 게 없으면 더 빨리 잊는다던데, 나는 사진 한 장도 버리지 않는 사람이다. 다 내 거야! 소중한 기억! 같은 업보를 일에서도 치른다. 어찌나 성실한 응시자였는지 풀이 과정을 세세하게도 글로 남겨놨다. ‘지금에 와서 보니 얼토당토않은 풀이구먼!’ 하고 마음껏 과거의 나를 비웃어주고 훌훌 털어낼 수 있으면 좋으련만 어떤 생각들은 지금도 가슴 깊이 동의하고 있어서 그 문장들을 그러안고 보내주질 못하는 나 자신이 미련하게 느껴진다.
내가 번뇌에 시달릴 걸 알았는지 근황을 나눌 때마다 마음 좋은 지인들은 조심스레 자신이 알고 있는 이야기와 책을 나누어 주었다. 책 선물이란 게 은근히 까다로워서 둘의 취향이나 오늘의 관심사가 잘 맞지 않으면 책장 속에서 깨끗한 헌 책이 되기 십상이다. 선물 해 준 사람의 성의가 마음에 밟혀서 책장에서 딱 한 달만 겨우 살다가 재활용품으로 거듭날 때도 있다. 하지만 이번엔 나도 절박했던 모양인지 책이 들어오는 족족 글자들을 게걸스럽게 먹어 치웠다. <당신이 생각하는 모든 것을 믿지 말라>, <모든 것이 되는 법>, <내면 소통>, <아티스트 웨이>, ……
공교롭게도 각기 다른 사람들이 전해준 서로 다른 책 속에는 비슷한 원칙들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생각하기를 멈출 것. 텅 빈 평온을 찾아볼 것. 내 안에서 저절로 떠오르는 첫 번째 문장에 집중할 것. 그 문장의 한계를 사고로 제한하지 말 것. 그리고 답이 나 자신에게 있다는 것을 진실로 진실로 믿을 것. 이 과정을 가능한 한 자주, 글로 남겨둘 것.
낱권의 책이 일러주는 조언보다 더 큰 위로는 내 눈에 멋지고 단단해 보였던 사람들도 제각기 비슷한 고민으로 자기만의 바이블을 품고 산다는 거였다. 그리고 그 바이블 속 표현들이 평소 지인들이 사용하던 언어습관과 유격이 있어서 도리어 더 오래 들여다보게 했다. ‘당신이 이런 책을?’
모두 비슷한 고민을 하고 산다. ‘무엇으로 벌어 먹고살 것인가?’는 ‘나는 누구인가?’와 궤를 같이하는 인류 최대의 난제이다. 그 덕에 같은 말을 하는 바이블은 이렇게나 많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새로 만들어져 우리를 다독일 것이다. 아멘도 한 번으로는 부족해 세 번 하니까. 아멘. 아멘. 아멘.
어쩌면 내가 지금 해야 할 일은 무엇으로 벌어 먹고살지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실패와 상처가 나의 발목을 붙잡지 않도록 어물쩍 덮어두지 않고 고름을 끝까지 짜 내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고꾸라지지 않아도 상처는 생긴다. 멀쩡히 걷다가도 문지방에 새끼발가락을 찧곤 한다. 다쳤다는 걸 모르는 것이 더 큰 비극이다. 다친 곳을 또 다치거나 피하지 않아도 되는 장애물을 돌아가게 만들기 때문이다. 상처를 정직하게 치료하면 문제를 풀 힘과 지혜가 생길 거라는 걸 진실로 진실로 믿을 것. 진실로 진실로 믿을 것. 진실로 진실로 믿을 것.
오늘 아침, 내내 웅크려 얼굴을 감추던 목련이 활짝 피었다.